|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7);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7): 1003-1007.
Clinical Values of HRCT for Diagnosis of Incus Dislocations.
Young Myoung Chun, Kee Hyun Park, Sang Joon Shin, Hui Jun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Suwon, Korea.
측두골 외상에 의한 침골 전위에 대한 고분해능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
전영명 · 박기현 · 신상준 · 김휘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ABSTRACT
BACKGROUND:
The quick and accurate radiologic evaluation is essential to minimize the sequelae of temporal bone trauma.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HRCT) is regarded as a method of choice in the evaluation of the head trauma including temporal bone fractures. Although the diagnosis of ossicular dislocation with HRCT has been described, we could find only one report on the usefulness of coronal sections in the diagnosis of lateral displacement of the incu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recently reported radiologic sign, named the "Y" sign, for the diagnosis of lateral dislocation of the incus on the coronal HRCT sections of the temporal bon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xial and coronal HRCT sections of 13 cases who the laterally dislocated incus was confirmed operatively.
RESULTS:
In the axial HRCT sections, abnormal ice cream cone was shown in only 3 cases, but normal ice cream cone was shown in 10 cases. In the coronal HRCT sections, the Y-sign was shown in 11 cases-open Y-sign: 3 cases, closed Y-sign: 8 cases, in contrast, only 2 cases did not shown Y-sign.
CONCLUSION:
The Y-sign in the coronal sections is more correlated with the dislocated incus than with abnormal ice cream cone configuration in the axial sections. So, the Y-sign seems to be very useful in the diagnosis of the dislocated incus.
Keywords: Y-signHRCTDislocated incus
서론 측두골 외상을 포함한 두부 외상 환자에 있어서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빠른 시기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측두골 고분해능 전산화단층촬영(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이 측두골 골절과 이소골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HRCT가 이소골 전위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HRCT의 관상단층상에서의 이소골 전위에 대한 분석은 아직 많이 연구되어있지 않다.1)2)3)4) 본 저자들은 측두골 외상에 의해 침골 전위가 수술로 확인된 환자의 측두골 HRCT를 후향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축위단층상에서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의 소견이 보임에도 불구하고 관상단층상에서 전위된 침골과 정상 위치에 있는 추골에 의해 만들어지는, 최근에 알려진 소위 Y-sign이 많이 나타나며, 또한 침골 전위와 연관성이 깊게 나타나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재료 및 방법 1994년 7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아주대학교 이비인후과에서 측두골 HRCT를 시행한 측두골 외상을 포함한 두부 외상 환자중 수술로써 침골의 전위 및 골절이 확인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한 환자는 양측이었으므로 모두 13증례였다. 상기 환자는 모두 30도 축위단층상과 105도 관상단층상의 HRCT를 시행하였다. HRCT의 105도 관상단층상에서 추골 두부와 외측으로 전위된 침골의 체부 사이에 간격(cleft)이 발생하여 생긴 영상이 영문자 Y와 유사하여 최근에 알려진 바와 같이 Y-sign이라 명명하였다(Fig. 1). Y는 장각과 단각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각은 추골에, 단각은 외측으로 전위된 침골 체부에 각각 해당된다. 또한 Y-sign을 분리형(open Y-sign)과 연결형(closed Y-sign)으로 분류하였다. 분리형은 Y의 단각이 장각으로 부터 분리된 것으로, 연결형은 Y의 단각이 장각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규정하였다. 30도 축상단층상에서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이 보이는 경우는 양성(+), ice cream cone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경우는 음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5개월에서 70세(평균 연령은 21.7세)이였으며, 남·여는 각각 7명과 6명이었다. 대상 환자의 HRCT의 관상단층상과 축상단층상의 소견과 수술 소견은 Table 1과 같았다. 축상단층상에서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인 경우는 10례, 비정상적이거나 없는 경우는 3례에 불과하였고, 관상단층상에서는 Y-sign이 있는 경우는 모두 11례, Y-sign이 없는 경우는 2례였다(Table 2). 축상단층상에서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이 나타나면서 관상단층상에서 연결형 Y-sign이 있는 경우는 8례였지만(Case 1, 2, 5, 6, 7, 8, 11, 13:Fig. 2), 축상단층상에서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이 나타나면서 관상단층상에서 Y-sign이 없는 경우는 2례에 불과하였고(Case 3, 12:Fig. 3), 축상단층상에서 비정상적인 ice cream cone이 나타난 3례 모두에서 관상단층상에서 Y-sign이 관찰되었고 모두 분리형 Y-sign이였다(Case 4, 9, 10:Fig. 4). 고찰 Lloyd등1)이 1979년에 측두골 고분해능 전산화단층촬영(HRCT)의 유용성을 보고한 이후로 HRCT는 측두골 외상 진단에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고, 많은 저자들이 HRCT를 이소골 전위 진단에 이용하고자 하였다.1)4)5)6)7)8)9) 또한 Zimmerman등10)이 1987년에 보고 한 대로 측두골 골절이나 이소골의 진단에는 자기공명영상(MRI)보다 HRCT가 더 유용하다고 하였다. Hasso등4)이 1988년에 보고한 바에 의하면 측두골 골절 환자의 약 50%에서 이소골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다고 하였으나, Groboschek등2)은 측두골 골절 환자에 있어서 이소골의 이상 소견은 매우 드물다고 하였다. Ghorayeb등11)과 Hasso등4)은 외상후 가장 많은 이소골의 이상은 침등관절의 탈구이며, 특징적인 방사선학적인 소견으로 HRCT의 관상단층상에서 침골의 장각이 난원창에서 멀어지며, 등골과 침골의 장각간의 정상적인 각도가 소실된다고 하였다. 정상적인 HRCT의 축상단층상에서는 추침복합체에 의한 ice cream cone이 관찰되는데 ice cream cone의 아이스크림에 해당하는 부위(dip)는 추골의 두부에, ice cream cone의 원추체(Cone)는 침골의 체부와 단각에 해당된다. 비교적 드문 추침관절 탈구는 HRCT의 축상단층상에서 ice cream cone의 아이스크림에 해당하는 부위(dip)와 ice cream cone의 원추체(Cone)가 서로 분리되는 특징적인 소견이 나타난다. 정상적인 HRCT의 관상단층상에서는 추침관절에의한 영상은 확실한 추침간의 간격이나 Y-sign이 없이 특징적인 역상의 눈물 모양(inverted teardrop)이 나타난다. Maria등3)이 1995년에 보고한 바에 의하면 침골의 외측 전위는 축상단층상에서의 비정상적인 ice cream cone보다 관상단층상에서의 Y-sign과 더 잘 연관되어지며, 관상단층상에서의 분리형 Y-sign은 축상단층상에서의 비정상적인 ice cream cone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HRCT의 축상단층상에서 비정상인 ice cream cone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13증례중 3례에 불과하였지만 관상단층상에서의 Y-sign은 13증례 11례에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축상단층상에서의 비정상적인 ice cream cone보다 관상단층상에서의 Y-sign이 이소골의 이상 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더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술로써 확인된 경미한 추침관절의 탈구인 경우에는 축상단층상에서 모두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의 소견을 보이는 반면 관상단층상에서는 Y-sign이 거의 대부분 나타나므로 Y-sign이 이소골의 상태를 아는데는 더욱 더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상단층상에서 분리형 Y-sign의 소견을 보이는 3례에서 모두 축상단층상 에서 비정상적인 ice cream cone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 소견 상에서도 심하게 전위된 침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Maria등3)은 침골이 외측이 아닌 다른 면으로 전위 될 경우에는 HRCT의 축상단층상과 관상단층상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2례서 HRCT의 축상단층상과 관상단층상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이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임상 소견 등과 면밀한 비교 분석이 요구된다고 생각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저자 등은 본 연구를 통해 측두골절의 유무와 관계없이 임상적으로 이소골 전위에 의한 전음성 청력 장애가 의심될 경우 HRCT의 관상 및 축상단층상을 비교함으로써 미세한 침골전위를 발견할 수 있어 수술 등의 치료 방침 결정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결론 HRCT의 축상단층상에서 정상적인 ice cream cone의 존재는 이소골의 이상 상태를 잘 반영할 수 없으며, 관상단층상에서의 Y-sign이 이소골의 이상 상태를 더 잘 반영하였다. HRCT 관상단층상에서의 분리형 Y-sign은 축상단층상에서 비정상적인 ice cream cone과 연관성이 깊어, 관상단층상에서의 Y-sign은 이소골의 이상 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REFERENCES
1) Lloyd GAS, du Boulay GH, Phelps PD, Pullicino P:The demonstration of the auditory ossicles by high-resolution CT. Neuroradiology. 1979;18:243-248 2) Grobovschek M, Oberascher G:Dislocations and fractures of the ossicles:High resolution computerized tomography of the petrous bone. Digitale Bilddiagn. 1988;8(2):78-86 3) Maria TC, Lourenco MT, Joel W, Yeakley JW, Bechara Y, Ghorayeb BY:The “Y” sign of lateral dislocation of the incus. Am J otol. 1995;16:387-392 4) Hasso AN, Ledington JA:Traumtic injuries of the temporal bone. Otolaryngol Clin Nor Am. 1988;21:295-361 5) Aguilar EA III, Yeakley JW, Ghorayeb BY, Hauser M, Cabrera J, Jahrsdoerfer RA:High-resolution CT scan of temporal bone fracture:Association of facial nerve paralysis with temporal bone fracture. Head Neck Surg. 1987;9:162-166 6) Canon CR, Jahrsdoerfer RA:Temporal bone fractures:Review of 90 cases. Arch Otolaryngol. 1983;109:285-288 7) Ghorayeb BY, Yeakley JW, Hall JW, Jones BE:Unusual complication of temporal bone fracture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7;113:749-753 8) Holland BA, Brant-Zawadzki M:High-resolution CT of temporal bone trauma. AJR Am J Roentgenol. 1984;143:391-395 9) Virapongse C, Sarwar M, Kier L, Sasaki CT: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of the temporal bone:Its role in the evaluation of middle ear disease. Am J Otolaryngol. 1983;4:107-112 10) Zimmerman RA, Bilaniuk LT, Kackney DB, Goldberg HI, Grossman RI: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emporal bone fracture. Neuroradiology. 1987;29:246-251 11) Ghorayeb BY, Yeakley JW:Temporal bone fractures:Longitudinal or oblique? The case for oblique temporal bone fractures. Laryngoscope. 1992;102:129-134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