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9);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9): 1280-1285.
Effect of Topical Corticosteroid on Nasal Polyps.
Jin Hee Cho, Yong Koo, Nam Soo Lee, Yu Sung Won, He Ro Yoon, Byung Do Suh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N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경점막 비내 스테로이드의 비폴립에 대한 효과
조진희 · 구 용 · 이남수 · 원유성 · 윤희로 · 서병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Topical nasal corticosteroid therapy produces clinic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nasal polyposis, but there are lots of controversy about the pathogenesis of nasal polyps and the mode of action of steroid therapy.
OBJECTIVES:
To examine the mechanism of steroid effect, we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change in apex, body and stalk of nasal polyps individually after topical steroid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nasal polyposis were treated with budesonide nasal spray, 100ng(50ng/puff) twice daily in each nostril for 4 weeks. we quantified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 types and compared the histologic types and structures in each portion of nasal polyps from the patients.
RESULTS:
Administration of topical corticosteroid over 2 weeks caused changes in each portion of nasal polyps histologically. The histologic changes showed decreased edema and increased fibrosis under light microscope and it was evident with longer administration of the topical corticosteroid. The number of plasma cells in body portion was decreased after treatment.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number of degranulated granules of mast cell was increased in 2 weeks after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in 4 weeks at pedicle portion of nasal poly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dministration of topical corticosteroid may cause activation of healing process histologically.
Keywords: Nasal polypsTopical corticosteroidMast cellDegranulated granules
서론 비폴립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 및 약물요법의 선택에는 많은 논란이 있다.1)2)3)4)5) 그러나 스테로이드 치료는 알레르기성 및 염증성 기도질환 환자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비폴립증 환자에서의 경점막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는 전신적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임상적 호전을 나타내며 비폴립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술후 재발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3)4)6) 그러나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효과에 대한 기전이나 치료기간, 또한 스테로이드 치료가 비폴립 구성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적었다. 저자들은 비내 스테로이드 사용기간에 따른 비폴립의 부위별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비폴립의 치료에 있어서 스테로이드의 작용과 적절한 치료기간을 알아보고 전자현미경하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 정도를 관찰하여 비만세포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치료전 1개월동안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의 약물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없으며 수술요법보다 약물요법을 선호하는 다발성 비폴립이 있는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내 스테로이드(budesonide)를 각 비공당 1회에 2 puffs(50μg/puff)의 용량으로 하루 2회 비강내 분무하면서 치료전과 치료후 2주, 4주에 비폴립조직을 얻어 각각 첨단부, 체부, 경상부로 나누어 포르말린에 고정후 H-E 염색 및 Toluidine blue 염색을 하여 광학 현미경하(×100, ×400)에서 조직형 분류, 조직학적 변화7), 염증세포 및 비만세포8)의 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전자현미경하(×4000, ×8000)에서 경상부에 있는 비만세포의 탈과립정도를 image processing system(Videoplan, Kontron Co.,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9)10) 비폴립의 조직형 분류는 부종형, 선낭포형, 섬유형, 혼합형의 4가지 조직형으로 분류11)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ANOVA와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1. 환자의 임상양상 10명의 환자에서 알레르기 질환의 병력은 1명, 만성부비동염은 8명이었다(Table 1). 알레르기 검사에서 2명의 환자가 양성이었다(Table 2). 2. 조직형 변화 비폴립의 첨단부, 체부, 경상부에서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후 부종형은 감소하였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섬유형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Table 3). 3. 조직학적 변화 비폴립의 체부에 섬유화(p=0.092), 상피하 비후(p=0.100)의 증가가 있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Table 4). 4. 호산구, 형질세포, 비만세포 수의 변화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후 호산구의 수는 감소하였으며, 형질세포의 수는 첨단부와 체부에서 치료후 2주에 감소하였다가 4주에 증가하였고 경상부에서는 치료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비폴립의 각 부위에서 비만세포의 수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Table 5). 5. 비만세포의 탈과립 정도의 변화 비폴립의 경상부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 정도는 치료후 2주에 증가하였다가 4주에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able 6). 고찰 비폴립의 발생원인은 베르누이 현상, polysaccharide의 변화, 혈관운동성 부조화, 감염, 알레르기, 면역학적 기전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12) 치료제로서의 스테로이드는 알레르기와 염증성 기도질환에 널리 사용되어져 왔고3)4)6), 스테로이드의 항염증효과와 면역조절효과는 in vitro에서는 많이 연구되어 왔으나13), 기도 점막을 통한 효과와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감염에 의해 비폴립이 형성된 보고14)가 있지만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또한 Mygind15)는 비폴립을 감염성과 알레르기성으로 구분하여 전자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효과가 적으며 후자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고 하였으며, 비폴립에서 조직학적 변화로서 상피 기저막 비후, 기질 섬유화, 혈관 생성, 상피 및 선 비후등의 병리학적 변화가 호산구의 TGF-α, TGF-β의 생성에 의한다는 보고가 있다.16) 본 연구에서는 비폴립의 첨단부보다 체부, 경상부가 섬유화가 많으며 비내 스테로이드의 사용기간이 길수록 섬유형이 더욱 증가하여 치유과정이 진행됨을 알수 있었으며 비내 스테로이드 사용후 부종 및 염증세포 침윤의 감소, 섬유화 및 상피하 비후의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치료효과는 비내 스테로이드의 투여용량, 비폴립 조직에 침투된 정도의 차이, 비폴립의 심한 정도 -중비도를 넘는 다발성 비폴립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비강을 점유하는 정도가 다양함- 등의 차이로 인한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Kanai 등에 의하면 호산구수는 비내 스테로이드 1개월 사용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증가했으며, EG2+/Eosinophil ratio는 스테로이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하였으나17) 본 연구에서는 치료기간에 따른 비폴립 각 부위에서의 호산구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점차적인 감소를 보이고 형질세포는 첨단부와 체부에서는 치료전보다 치료 2주후에 감소하다가 4주째 증가하였고 경상부에서는 치료전보다 치료 2주째 증가후 4주째에도 비슷한 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비내 스테로이드는 비점막에서 히스타민의 양은 감소시키나 비만세포수는 변화시키지 않고 반대로 비만세포의 수는 감소시키나 세포내 과립의 형태에는 영향이 없다는 보고가 있다.18)19) 저자들도 비내 스테로이드 사용후 비만세포수가 비폴립의 첨단부에서는 사용전과 차이가 없었으며, 체부 및 경상부에서는 2주후 약간 증가한후 4주째는 치료전과 비슷한 수로 감소했다. 정상 호흡기 점막의 비만세포 과립은 소용돌이 모양이나 결정형인데, 비폴립의 비만세포 과립은 작고 소용돌이 모양의 바깥쪽 층구조가 감소하며 공포형성 등의 광범위한 탈과립 현상을 보인다.10)20)21) Takasaka 등22)은 비폴립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 정도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만성비염의 병력을 가진경우 아스피린 불내성이나 알레르기 비염의 병력을 가진 경우보다 탈과립 정도가 심하다는 보고를 하였다. 비만세포의 탈과립은 체부나 첨단부보다 경상부에서 잘 일어난다고 보고되어23) 경상부 비만세포를 선택하여 스테로이드 치료 전후에 비만세포의 탈과립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스테로이드 치료후 2주째 증가했다가 4주째 약간 감소하였으며 치료전보다는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로 수술요법을 원하지 않는 비폴립 환자에서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사용될수 있으나, 적절한 치료기간과 수술요법 병행시기의 결정에 대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폴립에서의 비만세포의 탈과립의 증가는 스테로이드 제제가 알레르기 환자에서 히스타민 유리억제와 혈관활동성 아민의 유리억제를 일으키는것과 달리 비폴립에서 다른 항염증 효과를 가진 물질을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다발성 비폴립 환자에서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전과 치료후 2주, 4주에 비폴립절제술을 시행하여 비폴립의 첨단부, 체부, 경상부를 부위별 및 치료기간별로 조직형, 조직학적 변화, 염증세포의 변화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정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폴립 환자에서 술전, 술후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사용될수 있으나 적절한 치료기간과 수술요법 병행시기의 결정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비내 스테로이드 치료후 비폴립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의 증가는 스테로이드 제제가 알레르기 환자에서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와 혈관활동성 아민의 유리억제를 일으키는 것과 달리, 다른 항염증 효과를 가진 물질을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작용기전에 관해서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Drake-Lee AB:Medical treatment of nasal polyps. Rhinology. 1994;32:1-4 2) Lildholdt T, Fogstrup J, Gammelgaard B, Kortholm B, Ulsoe C:Surgical versus medical treatment of nasal polyps. Acta Otolaryngol(Stockh). 1998;105 :140-143 3) Lildholdt T, Rundcrantz H, Lindqvist N:Efficacy of topical corticosteroid powder for nasal polyps: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budesonide. Clin Otolaryngol. 1995;20:26-30 4) Mygind N, Prytz S, Sorensen H, Pedersen CB:Long-term treatment of nasal polyps with beclomethasone dipropionate aerosol. Acta Otolaryngol(Stockh). 1976;82:252-255 5) Ruhno J, Andersson B, Denburg J, et al:A double blind comparison of intranasal budesonide with placebo for nasal polyposis. J Allergy Clin Immunol. 1990 ;86:946-953 6) Mygind N:Editorial:Nasal polyposis. J Allergy Clin Immunol. 1990;86:827-829 7) Min YG, Chung JW, Shin JS, Chi JG:Histologic structure of antrochoanal polyps. Acta Otolarynol(Stockh). 1995;115:543-547 8) Stoop AE, Heijden H, Biewenga J, Baan S:Lymphocytes and nonlymphoid cells in human nasal polyps. J Allergy Clin Immunol. 1991;87:470-475 9) Drake-Lee AB, Barker THW, Thurley KW:Nasal polyps(1)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rtifact(2) Fine structure of mast cell. J Laryngol Otol. 1984 ;98:285-292 10) Drake-Lee AB, Price J:A review of the morphology of human nasal mast cells as studi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Rhinology. 1992;30:229-239 11) Kaoki H, Hiraide F:A histological study of formation and growth of nasal polyps. Acta Otolaryngol(Stockh). 1987;100:137-144 12) Drake-Lee AB:Nasal polyps. In:Kerr AG, Mac-Kay IS, Bull TR. Scott-Brown’s Otolaryngology, vol. 4, Rhinology. 5th ed. London:Butterworths, 1987;143-146 13) Cupps TR, Fauci AS:Corticosteroid-mediated immunoregulation in man. Immunol Rev. 1982;65:133-155 14) Norlander T, Fukami M, Westrin KM, Stierna P, Carlsoo B:Formation of mucosal polyps in the nasal and maxillary sinus cavities by infec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09:522-529 15) Mygind N:Nasal polyps. In Mygind N. Nasal Allergy. 2nd ed. Oxford:Blackwell, 1979;233-238 16) Elovic A, Wong DTW, Weller PF, Matossian K, Galli SJ: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s- and 1 messenger RNA and product by eosinophils in nasal polyps. J Allergy Clin Immunol. 1994;93:864-869 17) Kanai N, Denburg J, Jordana M, Dolovich J:Nasal polyp inflammation:Effect of topical nasal steroid.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4;150:1094-1100 18) Cohan VL, Undem BJ, Fox CC, Adkinson NF, Lichtenstein LM, Schleimer RP:Dexamethasone does not inhibit the release of human mast cell residing in airway, intestine, or skin. Am Rev Respir Dis. 1989;140:951-954 19) Laitinen LA, Laitinen A, Haahtela T:A coe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n inhaled corticosteroid, budesonide, and a 2-agonist, terbutaline, on airway inflammation in newly diagnosed asthma:A randomized, double-blind, parallelgroup controlled trial. J Allergy Clin Immunol. 1992;90:32-42 20) Cauna N, Hinderer KH, Manzetti GW, Swanson EW:Fine structure of nasal polyps. Ann Otol. 1972 ;81:41-58 21) Drake-Lee AB, Price JM, Milford CM, Bickerton RC:Nasal mast cell:A preliminary report on their ultrastructure. J Laryngol Otol Suppl. 1987;13:1-17 22) Takasaka T, Kaku Y, Hozawa K:Mast cell degranulation in nasal polyps. Acta Otolaryngol Suppl(Stockh). 1986;430:39-48 23) Sasaki Y:Distribution of the degranulated and nondegranulated mast cells in nasal polyp. Acta Otolaryngol Suppl(Stockh). 1986;430:34-3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