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6);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6): 524-529.
The Change of Hearing Threshold and Endocochlear Potential by Bafilomycin Delivered to Round Window in Guinea Pigs.
Joong Ho Ahn, Hun Hee Kang, Jong Woo Chung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Pundang Jesaeng Hospital, Daejin Medical Center, Sungnam, Korea.
2Asan Institute of Life Science, Seou, Korea.
3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기니픽의 정원창에 투여된 Bafilomycin에 의한 청력 및 와우내 전위 변화
안중호1 · 강훈희2 · 정종우3
분당제생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아산생명과학연구소2;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3;
주제어: 기니픽Bafilomycin청성뇌간유발반응와우내 전위.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Vacuolar type H+-ATPase (V-H+-ATPase) has a role in the regulation of endolymphatic pH and certain cells (including strial marginal cells, inner hair cells and epithelial cells of the endolymphatic sac) may be specialized for this regulation. Bafilomycin is a specific V-H+-ATPase inhibitor affecting inner ear function by controlling the intracytolic pH decrease. We designed the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bafilomycin delivered to the inner ear on the hearing threshold measured by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and endolymphatic potential (EP).
MATERIAL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hearing threshold change, 13 guinea pigs with normal Preyer's reflex and normal ABR were used. Guinea pig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 (n=3, 6 ears) and study groups which were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1 mM bafilomycin group (n=3, 6 ears), 5 mM bafilomycin group (n=3, 6 ears) and 10 mM bafilomycin group (n=4, 8 ears). The mastoid cavity was opened to expose the round window and HBSS buffer (300 osm) was applied for the control group and bafilomycin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lso applied to the round windows of studied guinea pigs. The hearing threshold was measured using ABR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solutions. For measuring of EP, the cochlea helix and round window of guinea pig with normal hearing were defined and a tungsten micro needle was inserted into the endolymphatic space at 2nd turn of guinea pig's cochlea. EP was measured after application of HBSS buffer as control, 1 mM, 5 mM, and 10 mM bafilomycin.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the hearing threshold was 21.6+/-2.8 dB (mean+/-SD) initially both before and after mastoidectomy and stayed that way all throughout the study. The hearing threshold increased as bafilomycin was applied. For 1 mM of bafilomycin application, the threshold changed from initial 30.0+/-5 dB to 33.3+/-5.7 dB after 2 hours. For 5 mM of bafilomycin application, the threshold changed after 2 hours from initial 30.0+/-5 dB to 50.0+/-0 dB. With 10 mM of bafilomycin application, the threshold changed after 2 hours from initial 27.5+/-6.4 dB to 52.5+/-8.6 dB. For 5 mM and 10 mM bafilomycin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change of hearing threshold (p<0.05).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5 mM and 10 mM group (p=0.88). Initial EP was 85+/-10 mV an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5 mM (35 mV) and 10 mM (19.8 mV) bafilomycin groups, but such was not observed in 1 mM bafilomycin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We could observe the elevation of hearing threshold and decrease EP after applying bafilomycin on the round windows of guinea pigs and also observed that this change reached a critical point when the concentration of bafilomycin was 5 mM or higher.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bafilomycin does affect the hearing threshold through its mechanism and the degree of damage has a critical point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bafilomycin.
Keywords: Guinea pigsBafilomycinAuditory thresholdEvoked potential

교신저자:정종우, 138-736 서울 송파구 풍납동 388-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현근무지:안중호(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3010-3718 · 전송:(02) 489-2773 · E-mail:jwchung@amc.seoul.kr 

서     론


  
진핵세포(eukaryotic cell)는 공포 시스템(vacuolar system) 이라고 불리는 내부적으로 산성화된 내막 시스템(endomembrane system)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양자 펌프(proton pump, H+-ATPase)를 이용하여 낮은 내부의 pH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세포들로 하여금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1)2)
   대부분 신체의 체액의 pH는 매우 적은 변화의 폭으로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pH의 조그만 변화에도 중요한 대사적, 발육상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3) 세포내 H+ 이온은 H+-ATPase에 의해 능동적으로 세포외로 분비되며 H+-ATPase는 F, P, 그리고 V의 세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이들 중 vacuolar type H+-ATPase(V-H+-ATPase)는 가장 최근에 분류된 것으로 공포막의 주된 이온 펌프이며 동물의 원형막의 주된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다.4) V-H+-ATPase는 대부분의 진핵세포의 기능적 그리고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며 다양한 종류의 세포 소기관과 세포막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등 넓은 범위의 역할을 한다. 알려진 바로는 이들은 남성 생식기능(male fertility), 파골세포에서 골흡수 기능, 시냅스 소낭(synaptic vesicle)으로의 신경 전달물질의 축적, 신장세포에서 운송시스템의 에너지 공급원, 그리고 안구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4)
   Stankovic 등5)은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이용하여 기니픽의 내이의 V-H+-ATPase와 Cl--HCO3- 교환체의 분포정도를 조사하였는데 이들은 첨부의 원형막(apical plasma membrane)과 선조부의 변연 세포에 주로 많이 분포하였으며 특히 변연 세포의 V-H+-ATPase는 와우의 내림프와 닿는 첨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내유모세포, 코티기관의 root 세포와 지지세포(supporting cells), 나선인대(Spiral ligament)의 type 1 섬유세포들에서도 분포하였다. V-H+-ATPase는 미토콘드리아의 F1,F0-APTase, 원형막의 E1,E2-ATPase와 비교할 때 몇 가지 억제인자에 분명한 감수성을 지니고 있는데 최근 스트렙토마이시즈 균주(Streptomyces griseus)로부터 분리된 macrolide계 항생물질인 bafilomycin(bafilomycin A1, C35H58O9)이 V-H+-ATPase의 매우 선택적인 억제물로 알려졌으며6)7) V-H+-ATPase에 의한 전기적인 H+ 이온의 배출의 변화가 와우내 전위(endocochlear potential, EP)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와우의 세포들 중 산의 배출과 와우내 전위를 발생시키는 주된 역할을 하는 세포는 혈관조의 변연 세포 등이며 이러한 가능성은 Carbonic anhydrase blocker인 acetazolamide가 EP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전의 연구에서도 제시되어 왔다.8)9)10)11) 와우내 전압이 약간의 변화만 생겨도 청신경의 전달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H+ 이온의 내림프 내로의 배출은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2)13)
   저자들은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기니픽의 정원창에 bafilomycin을 투여하여 V-H+-ATPase억제에 따른 청력역치와 와우내 전위의 변화를 관찰하여 청력저하의 원인과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용액
   HBSS buffer는 HEPES 5 mM, NaCl 136.0 mM, KCl 5.4 mM, Na2HPO4 0.34 mM, D-glucose 5.5 mM, MgSO4 0.81 mM, KH2PO4 0.44 mM, CaCl2 1.25 mM을 1 L의 H2O에 섞고 pH를 7.4로 맞추고 4℃에서 보관한 것을 사용하였다.
   Bafilomycin(bafilomycin A1, C35H58O9)은 10% DMSO에 1:10의 비율로 녹여 stock solution(100 mM)을 만들고 HBSS buffer에 각각 1, 5, 10 mM의 농도가 되도록 녹여서 사용하였으며 대조군(control solution)으로는 같은 vol%를 갖는 DMSO와 HBSS buffer를 사용하였고, 이들의 osmolarity는 실험용액과 동일하였다. 실험용액은 모두 Sigma Chemicals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pH는 7.4였다. 

실험 동물 및 마취
  
청력역치의 변화를 보기위한 실험동물로는 정상적인 Preyer's reflex를 보인 200
~300 gm의 기니픽을 ketamine hydrochloride(30 mg/kg)와 xylazine(2 mg/kg)을 섞어서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이들은 청력역치의 변화를 관찰하기위해 대조군, 1 mM, 5 mM, 10 mM bafilomycin에 각각 3마리의 기니픽을 사용하였으며 와우내 전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각각 1마리의 기니픽을 사용하였다.

청력역치의 측정 
   청력역치는 청성뇌간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청성뇌간반응은 Traveler Express(Bio-logic Systems Co., Mundelein, IN, USA)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자극음은 초당 13회의 교대상 클릭음을 90 dB HL의 강도부터 단계별로 10 dB 낮추며 측정하였고, 파형이 불분명하게 나오는 음의 강도에 도달하면 5 dB씩 조절하면서 청력 역치를 측정하였다. 청력역치는 wave Ⅰ을 기준으로 정상적인 wave Ⅰ이 추적되는 강도를 청력역치로 정하여 측정하였다. 클릭음의 주파수필터는 100
~3000 Hz로 조절하였고, 총자극음의 횟수는 1,024회로 하였다. 

정원창의 노출 및 청력역치의 변화측정 
   우선 기니픽 두부의 털을 제거한 후 청성뇌간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patch type의 전극을 EEG paste에 묻혀서 좌우 유양동 부위와 두정부, 후두부 피부에 고정하고 정상 청력을 측정하였다. 이후 기니픽 귓바퀴의 내측으로 약 1.5 cm 길이의 피부절개를 시행하고 Beckman 2×2 prong retractor를 고정한 후 골성 외이도의 후내측 부분의 골포를 드릴을 이용하여 개방하여 와우의 정원창을 확인하였다. 기니픽의 정원창 노출 이후 개방시 청력에 영향이 없었는지 다시 한번 청력을 측정한 후 약물을 200 μl씩 gelfoam에 묻혀서 정원창에 유치시킨 후 시간별로 청력역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와우내 전극 삽입 후 약물농도에 따른 와우내 전위의 변화측정 
   기니픽의 와우내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같은 방법으로 피부절개를 시행하고 유양동을 드릴로 개방한 뒤 고막과 이소골을 확인한 뒤 이소골을 제거하여 정원창 및 와우의 회선을 확인한 후 현미경 하에서 기니픽 와우의 두번째 회선부에 Rosen pick을 이용하여 골성미로에 구멍을 뚫었다. 이후 내림프액의 유출이 없음을 확인하고 tungsten micro needle(2.0 Mohm, WPI, USA)을 막성미로를 뚫고 삽입한 뒤 정확히 중간계(scala media)내에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와우내 전위를 측정하여 확인한 후 역시 약물을 200 μl씩 gelfoam에 묻혀서 정원창에 유치시킨 후 와우내 전위의 변화를 시간별로 측정하였다(Figs. 1 and 2).
   측정기기로는 micromanipulator M3301R+M-3(WPI, Sarasota, USA)에 DAM60 amplifier(WPI)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며 증폭정도는 DC 100배로 하였다. 와우내 전위 측정 프로그램으로는 comizoa CP-201 hardware/software(COMIZOA CO., LTD., Daejeon, Korea)를 사용하였다. 

통계 처리 
   결과값은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학적인 분석은 SAS version 6.12(SAS Institute Inc., US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 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보기 위해서 paired t-test를 수행하였다. 

결     과

Bafilomycin의 농도에 따른 기니픽 청력역치의 변화
  
대조군으로는 같은 양의 HBSS buffer를 사용하였고 1, 5, 10 mM bafilomycin을 기니픽의 정원창에 투여하여 시간별 청력역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투여후 2시간 경과 후 측정한 청력역치는 대조군 21.6±2.8 dB, 1 mM bafilomycin 33.3±5.7 dB, 5 mM bafilomycin 50.0±0 dB, 10 mM bafilomycin 52.5±8.6 dB로 대조군과 1 mM bafilomycin을 투여한 군에서는 2시간 경과 후까지 별다른 청력역치의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5 mM과 10 mM bafilomycin 투여군에서는 약 60분 경과 이후로 각각 유의하게 청력역치가 높아졌으며 이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1, Fig. 3).

Bafilomycin의 농도에 따른 기니픽 와우내 전위의 변화
  
초기 와우내 전위는 85±10 mV였으며 약물 투여 후 측정한 와우내 전위의 변화관찰 시 대조군, 1 mM bafilomycin 투여군에서는 와우내 전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5 mM, 10 mM bafilomycin 투여군에서는 투여후 약 10분 경과 후부터 각각 35 mV, 19.8 mV의 전위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와우내 전위의 변화는 20분 경과 후 약 한시간까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Fig. 4).

고     찰

   기저막상에 있는 내유모세포는 기저막의 진동으로 인해 비틀린 힘(shearing force)을 전달받게 되며 이러한 음압이 K+ 이온의 유입으로 인한 유모세포 세포막의 탈분극, 뒤이은 전압 민감성 Ca2+ 이온채널(voltage sensitive Ca2+ channel)의 개방으로 유입된 Ca2+ 이온으로 인한 해당 유모세포와 청신경 사이의 시냅스(synapse) 근처에서 양전위가 축적되고 glutamate 등의 신경전달 물질이 방출되어 해당 청신경에서 활동전위를 발생하게 한 후 이러한 활동 전위들이 대뇌로 전달되면서 소리로 인식되게 된다. 
   유모세포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첫 단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감각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청력장애가 나타나게 되며 와우 내의 유모세포 및 코티기의 여러 세포들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pH 및 이온환경의 항상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기니픽의 와우내 전위(endocochlear potential)는 그 발생기전이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Wangemann은14)15) 선조(stria vascularis)의 변연세포(marginal cell) 등에 의해 높은 농도의 K+ 이온이 분비되며 이로 인해 높은 와우내 전위가 형성된다고 주장하였으며 Wakizono 등16)은 기니픽 와우내 전위는 외림프액의 pH가 5에서 9사이인 경우 정상적으로 유지되며 4이하로 감소하였을 경우 가역적인 감소를, 10이상인 경우 비가역적인 감소를 보였다고 보고하여 와우내 전위가 외림프 pH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N+과 K+ 이온의 조절을 위해 와우내 세포에 위치한 Na+-K+ ATPase는 세포내 Na+ 이온과 세포외 K+ 이온의 농도 및 세포내 pH에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적 pH는 7.3이고 pH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활성도가 감소하게 된다.17)
   항생제와 이뇨제 등의 약물들이 이독성과 신독성의 부작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내이와 신장이 체액과 전해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비슷한 기전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오래 전부터 제시되어 왔으며9)10)18) 신장에서 pH를 조절하는데 역할을 하는 두개의 단백질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는 V-H+-ATPase와 Cl--HCO3- 교환체(Cl--HCO3- exchanger)로서 이미 서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내이의 조직, 특히 선조의 세포들에서도 신장에서와 같은 V-H+-ATPase가 존재하여 와우내 pH 조절에 관여한다고 밝혀져 있다.
   정상적인 청력감소를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V-H+-ATPase의 매우 선택적인 억제물로 알려진 macrolide계 항생물질인 bafilomycin을 사용하여 기니픽의 정원창을 통한 투과로 청력역치의 저하와 와우내 전위의 감소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기니픽의 정원창에 각각의 약물을 투여 후 2시간 경과 후 측정한 청력 역치는5 mM과 10 mM bafilomycin 투여군에서는 각각 50.0±0 dB, 52.5±8.6 dB으로 대조군과 1 mM bafilomycin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청력역치가 낮아졌으며 이는 5 mM 이상의 bafilomycin이 와우내의 여러 세포들, 특히 선조 변연세포에 영향을 미쳐 H+이온의 배출이 억제되고 그 결과 와우내의 pH를 높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청력역치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와우내 전위변화에서도 5 mM, 10 mM bafilomycin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약 10분 경과 후부터 전위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본 실험에서 청력역치는 bafilomycin 투여후 약 30분 경과 이후부터 감소하는데 비해 와우내 전위는 약 10분 정도 경과 후부터 낮아지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청력역치의 측정간격(30분)과 와우내 전위의 측정간격(1분)의 차이 때문에 보이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V-H+-ATPase의 작용방해 등으로 인해 H+ 이온의 배출이 억제되어 세포 간질액의 pH의 상승 및 뒤이은 와우내 전위의 감소가 일어나지만 실제로 유모세포 등의 기능저하로 인한 청력 이상이 오기까지에는 어느 정도 시간적 경과가 필요할 가능성 및 달라진 이온 및 pH환경에 대한 코티기관 내의 유모 세포 저항성에도 어느 정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실시간 청력 역치 측정방법의 개발로 추가적인 실험을 하여 연구결과를 보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기니픽의 정원창을 통해 투여된 bafilomycin에 의한 청력역치의 상승과 와우내 전위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bafilomycin 5 mM 이상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bafilomycin에 의하여 와우내 세포들, 특히 선조 변연 세포 및 기저세포 등의 V-H+-ATPase 기능이 저하되어 세포내pH가 낮아지고, Na+-K+ ATPase의 정상적인 기능의 소실로 내림프로의 높은 K+이온의 흐름을 유지하지 못하여 와우내 전위가 감소하게 되고, 유모세포 및 감각세포들의 기능 저하로 인한 청력저하를 유발한다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Mellman I, Fuchs R, Helenius A. Acidification of the endocytic and exocytic pathways. Annu Rev Biochem 1986;55:663-700.

  2. Forgac M. Structure and function of vacuolar class of ATP-driven proton pump. Physiol Rev 1989;69:765-96.

  3. Busa WB, Nuccitelli R. Metabolic regulation via intracellular pH. Am J Physiol 1984;246:R409-38. 

  4. Nelson N, Taiz L. The evolution of H+-ATPases. Trends Biochem Sci 1989;14:113-6. 

  5. Stankovic KM, Brown D, Alper SL, Adams JC. Localization of pH regulating proteins H+ ATPase and Cl-/HCO3- exchanger in the guinea pig inner ear. Hear Res 1998;124:191-2. 

  6. Werner G, Hagenmaier H, Drautz H, Baumgartner A, Zahner H. Metabolic products of microorganisms. 224. bafilomycins, a new group of macrolide antibiotics. Production, isolation, chemical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 (Tokyo) 1984;37:110-7.

  7. Bowman EM, Siebers A, Altendorf K. Bafilomycins: A class of inhibitors of membrane ATPases from microorganisms, animal cells, and plant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1988;85:7972-6.

  8. Sterkers O, Saumon G, Tran Ba Huy P, Ferrary E, Amiel C. Electrochemical heterogeneity of the cochlear endolymph: Effect of acetazolamide. Am J Physiol 1984;246:F47-53.

  9. Misrahy GA, Hildreth KM, Clark IC, Shinabarger EW. Measurement of the pH of th endolymph in the cochlea of guinea pigs. Am J Physiol 1958;194:393-5.

  10. Prazma J. Carbonic anhydrase in the generation of cochlear potentials. Am J Physiol 1978;235:F317-20.

  11. Ikeda K, Kusakari J, Takasaka T, Saito Y. Early effects of acetazolamide on anionic activities of the guinea pig endolymph: Evidence for active function of carbonic anhydrase in the cochlea. Hear Res 1987;31:211-6.

  12. Sewell WF. The relation between the endocochlear potential and spontaneous activity in auditory nerve fibres of the cat. J Physiol 1984;347:685-96.

  13. Guinan JJ, Glifford MI.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olivocochlear neurons o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cochlear responses. Hear Res 1987;29:179-94.

  14. Wangemann P. Potassium ion secretion and generation of the endocochlear potential in the stria vascularis. HNO 1997;45:205-9.

  15. Wangemann P, Liu J, Marcus DC. Ion transport mechanisms responsible for K+ secretion and the transepithelial voltage across marginal cells of stria vascularis in vitro. Hear Res 1995;84:19-29.

  16. Wakizono S, Komune S, Uemura T. Susceptibility of the endocochelar potential to pH and osmolarity changes the perilymph of the cochlea in the guinea pig. Eur Arch Otorhinolaryngol 1990;247:97-9.

  17. Kuijpers W, Bonting SL. Studies on (Na+-K+)-activated ATPase. XXIV. Localization and properties of ATPase in the inner ear of the guinea pig. Biochim Biophys Acta 1969;173:477-85.

  18. Sterkers O, Ferrary E, Amiel C. Production of inner ear fluids. Physiol Rev 1988;68:1083-12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