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12);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12): 1247-1250.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oo Kweon Koo, Chang Youn Song, Hyun Kyu Kim, Chul Woo Han, Sang Wha Lee, Kyung Myung Chon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aint Benedict Hospital, Busan, Korea. chief123@chollian.net
2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성별에 따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비교
구수권1 · 송창윤1 · 김현규1 · 한철우1 · 이상화1 · 전경명2
부산 성분도병원 이비인후과1;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2;
주제어: 폐쇄성수면무호흡수면다원검사.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OSA (obstructive sleep apnea) is considered a disorder that occurs predominantly in me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ex difference in OSA can help the medical community in consul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diseases. So,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urthe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OSA.
SUBJECTS AND METHOD:
Three hundred and sixteen patients (47 women and 269 men), diagnosed as having OSA based on polysomnography (PSG) in the sleep disorder clinic between July 1994 and December 2002,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Female patients were older and had less severe OSA than men. In the group of patients showing the similar degree of sleep apnea measured according to RDI, femal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older, with more of them in the postmenopausal age; there were no difference with respect to obesity, except for the severe group. In the group of patients having the same age and obesity, males had more severe apnea, but females tended to have severe apnea over the age of 50. In terms of subjective symptoms, male patients noted more severe OSA symptom, daytime fatigue, attention deficiency than female patients, who noted morning headache and depression more often than their counterpart.
CONCLUSION:
Female patients showed less morbidity than male patients and also tended to be more obese. Current clinical evaluation of OSA must take into account this gender disparity
Keywords: Obstructive sleep apneaPolysomnography

교신저자:구수권, 602-739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3동 31-3  부산 성분도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51) 466-7001 · 전송:(051) 464-7271 · E-mail:chief123@chollian.net

서     론


  
수면무호흡증은 전체 인구의 1
~2%정도에서 발생하며,1) 성인 남성의 4%, 성인 여성에서 2%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는 비교적 드물지 않은 질환으로서,2) 남성이 여성보다 유병률이 높고, 주로 중년 이후의 남성에서 호발하며 여성은 폐경기 이후에 발생빈도가 증가한다.3) 수면무호흡증의 성별 빈도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남녀간의 호르몬 차이, 연구대상의 연령, 인종간의 신체 및 식생활의 차이점 등 다양한 변수를 가지기 때문이다. 
   수면무호흡증은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자세한 병력청취가 중요하며, 그 치료는 체중 감소가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질환으로 환자 스스로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면무호흡증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고, 환자 개개인의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상담함으로써 환자에게 충분한 이해와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저자는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의 병력, 수면다원검사, 성별, 연령별 특성을 찾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1994년 7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으로 성분도병원 이비인후과 수면장애클리닉에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366명(남성 301명, 여성 65명)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316명(남성 269명, 여성 4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령분포는 18
~68세 사이였고,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44.2세, 52.9세이었다.

방  법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PSG)
   수면다원검사는 전산화 자동 수면다원기(Alice 3, Healthdyne Co. USA)를 사용하였다. Gillemninault의 진단기준에 따라 수면다원검사상 무호흡이 수면시간당 5회 이상 (apnea index, AI≥5)있거나, 7시간 이상의 수면 중 30회 이상의 무호흡이 나타나는 경우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하였으며,4)5) 미국수면장애 협회의 분류에 따라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가 5
~20을 경도, 21~40을 중등도, 40보다 큰 경우를 고도로 분류하였다.6)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wt/ht2=kg/m2)
   비만도는 신장과 몸무게를 이용한 Quelet's index7)를 사용하였으며, BMI가 20 미만인 경우를 저체중, 20 이상 25 미만인 경우를 정상, 25 이상 30 미만인 경우를 grade Ⅰ, 30 이상을 grade Ⅱ로 4단계로 분류했다.7)

병  력 
   수면다원검사 전에 시행한 병력청취와 검사전 설문조사에서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통  계
  
남녀간 각각의 항목에 대한 빈도분석을 mean±EM(standard error of the mean)과 SD(standard deviation)값, p-value로 나타냈고, 남녀간 각 항목에 대한 상관관계를 통계 처리하였다. 통계학적 검정은 SPSS 한글 10.0으로 T-test를 이용해 분석했고, 유의 확률 값(p-value)이 0.05보다 작은 것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환자의 수면다원검사 및 병력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자 44.2세, 여자 52.9세이었으며, 호발 연령은 남자는 40대, 여자는 50대이었다. BMI 평균은 남자 26.1, 여자 27.4이었으며, 수면다원검사에서 AI 평균은 남녀 각각 26.3, 18.4, RDI 평균은 남녀 각각 27.6, 19.1, 최저 산소포화도(%) 평균은 남녀 각각 83.0, 84.3로 최저 산소포화도를 제외하고는 남자에서 의미있게 더 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양상을 보였다(p<0.05)(Table 1).

RDI에 따른 환자군의 연령, 비만도, 검사실 소견의 남녀 비교
   RDI가 20 미만인 경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는 남자 43.9세, 여자 54.0세로 여자의 나이가 많았으나(p<0.05), 비만도는 비슷하였다. 
   RDI가 20
~40인 중등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나이도 많고, 비만도가 높았다(p<0.05). 
   RDI가 40 이상인 고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나이는 많았으나(p<0.05), 비만도는 비슷하였다(Table 2).

비만도 Grade Ⅰ의 동일 연령군에서 수면무호흡증의 남녀 비교
   BMI가 20 미만인 경우인 저체중인 경우 13명(female:male=5:8), BMI가 20 이상 25 미만인 정상인 경우는 96명(female:male=10:86), BMI가 30 이상인 grade Ⅱ는 51명(female:male=14:37)이었고 이중 비만도에서 가장 고빈도를 나타내었던 Grade Ⅰ군(25≤BMI<30)의 40대 연령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AI, RDI는 더 높고 최저산소포화도는 더 낮은 양상을 보였으며(p<0.05), 50대 이상에서는 남녀간의 AI는 비슷하였고, RDI는 남자 30.2, 여자 27.1, 최저산소포화도는 남녀 각각 88.0%, 82.0%로 수면무호흡증은 남자가 심했으나, 40대에 비하여 50대 이상에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Table 3).

주관적 증상의 남녀 비교
  
수면장애 클리닉에 방문하는 환자의 주관적 호소는 수면중 코골이가 남,녀 모두에서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남성에 있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여성에 비해 주간 피로, 집중력 저하가 많았으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코골이와 수면중 관찰되는 무호흡 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은 적었지만, 아침 두통과 우울증상의 빈도는 남성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Table 4).

고     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에 관련된 질환은 상기도의 해부학적 형태와 비만이 활발히 진행되는 중년에서 빈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별에 따라 중증도가 다르므로 이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만의 진행과 형태, 지방조직의 분포 등이 다르며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 상기도 근육의 기능, 환기조절기능 등에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은 남성이 경험하지 못하는 폐경 등의 여성호르몬과 관련된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이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차이점은 환자의 상담과 치료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병률이 낮다.2) 여성의 유병률이 남성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은 폐경 전에는 여성호르몬에 의한 기도 보호작용이 있고 남성에 비해 코골이 증상을 숨기려는 경향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대한 여성의 소극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8)9)10)11)12) 따라서 보다 많은 수의 여성이 수면과 관련된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적극적인 치료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임상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Young 등12)은 중증도가 유사한 수면무호흡증 집단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BMI가 의미있게 높다고 보고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수면무호흡증의 중증 정도가 비슷한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BMI가 높고 연령이 많았다. 이는 여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남성에 비해 더 비만하며, 비만으로 인한 성인병의 유병률이 더 높을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Ware 등13)은 BMI에 따른 수면무호흡을 가진 남녀를 비교 연구한 결과 동일비만도 집단에서 남성이 더 높은 AHI (apnea hypopnea index)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이는 수면 무호흡환자에서 BMI 별로 가장 고빈도를 보였던 BMI grade Ⅰ에서 비교한 본 연구의 경우와 일치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일반적으로 동일 조건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정도가 심한 것은 남성은 상체 지방분포가 우세하고 여성은 하체 지방분포가 우세한 남녀간의 체내 지방분포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폐경기 여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인 estrogen과 progesterone에 의한 기도폐쇄 방어작용의 장애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8)10) 실제로 여성의 경우 40대와 50대를 구분한 비교에서 50대에서 더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폐경에 따른 호르몬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폐경에 따른 여성의 수면무호흡증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항상 대상자의 정확한 폐경의 기준을 잡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상적으로는 혈청호르몬 수치 혹은 최종 월경일 등으로 폐경상태를 정확히 평가해야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Massachusetts 여성보건 연구에서 시행한 중년 여성의 코호트 집단에서 제시한 폐경 평균 나이인 51.3세를 근거로 폐경기를 50대 이상으로 정하였다.14)
   Marin 등15)은 남성이 여성보다 코골이의 정도가 더 심하다고 하고, Walker 등9)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밤중 코골이와 무호흡의 빈도가 더 많은 반면 여성이 남성보다 아침두통이 의미있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Kapsimalis와 Kryger16)도 코골이와 무호흡, 기면증 등은 남성에 흔한 반면 아침두통과 우울증은 여성에서 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남성에서는 주간 기면과 집중력 장애가, 여성에 있어서는 아침두통과 우울증상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따라서 남성의 경우 수면무호흡증이 운전이나 정밀을 요하는 작업에 심한 장애를 가질 수 있으며, 여성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의 비특이적인 증상인 심리적 및 정신과적 문제에 더 비중을 두고 환자를 대해야 한다. 이런 남녀간의 주관적인 증상의 차이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하면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더욱 정확하게 평가하고 진단을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상담과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호르몬, 체지방 분포의 차이 등으로 수면무호흡증의 유병률은 낮지만, 남성보다 심한 비만과 그에 따른 증상과 합병증이 병발할 수 있으므로 여성의 경우 남성과의 차이점을 고려한 임상적 접근과 치료가 요구된다. 


REFERENCES

  1. Bresnitz EA, Goldberg R, Kosinski RM. Epidemiology of obstructive sleep apnea. Epidemiol Rev 1994;16:210-27.

  2. Kapsimalis F, Kryger MH. Gender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rt 2: Mechanism. Sleep 2002;25:499-506.

  3. Young T, Palta M, Dempsey F, Skatrud J, Weber S, Badr S. The occurrence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5.

  4. Guilleminault C, Dement WC. Sleep apnea syndromes and related sleep disorders. In: Williams RL, Karacan I, editors. Sleep disorders: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Wiley;1978.

  5. Guilleminault C. Clinical features and evalu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Kryger MH, Roth T, Dement WC, editor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hiladelphia: WB Saunders;1991.

  6. Kim JH. Sleep apnea. In: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 editor.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Ⅱ. 1st ed. Seoul: Ilchokak;2002. p.1105.

  7. Bellizzi MC, Dietz WH. Workshop on childhood obesity: Summary of the discussio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99;70:173-5.

  8. Guilleminault C, Quera-Salva MA, Partinen M, Jamieson A. Women and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hest 1988;93:104-9.

  9. Walker RP, Durazo-Arvizu R, Wachter B, Gopalsami C. Preoperativ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sleep apnea. Laryngoscope 2001;111:1501-5.

  10. Leech JA, Onal E, Dulberg C, Lopata MA.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 with occulsive sleep apnea syndrome. Chest 1988;94:983-7.

  11. Dancey DR, Hanly PJ, Soong C, Lee B, Hoffstein V. Impact of menopause on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sleep apnea. Chest 2001;120:151-5.

  12. Young T, Hutton R, Finn L, Badr S, Palta M. The gender bias in sleep apnea diagnosis. Arch Intern Med 1996;156:2445-51.

  13. Ware J, McBrayer R, Scott J. Influence of sex and age on duration and frequency of sleep apnea events. Sleep 2000;23:165-70.

  14. McKinlay SM, Brambilla DJ, Posner JG. The normal menopause transition. Maturias 1992;14:157-60.

  15. Marin JM, Gascaon JM, Carrizo S, Grispert J. Prevalence of sleep apnea syndrome in the spanish adult population. Internal Journal of Epidemiology 1997;26:381-6.

  16. Kapsimalis F, Kryger MH. Gender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rt 1: Clinical features. Sleep 2002;25:409-16.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