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3);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3): 352-356.
Expression of beta-catenin and Adenomatous Polyposis Coli(APC) Protein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geal Cancers.
Hoon Park, Hyo Jin Kim, Jin Gyo Park, Dong Wook Kim, Byung Don Lee, Hyuck Soon Chang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kdw1228@hosp.sch.ac.kr
후두 편평상피암에서 β-catenin과 Adenomatous Polyposis Coli(APC) 단백의 발현
박 훈 · 김효진 · 박진규 · 김동욱 · 이병돈 · 장혁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속서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β-catenin선종성 결장 용종증 단백후두암.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beta-catenin has an essential role in intercellular adhesion and signal transduction. The Adenomatous poliposis coli (APC) protein interacts with beta-catenin in a multi-protein complex to regulate the level of expression of beta-catenin. Mutations in beta-catenin or APC gene can lead to the accumulation of beta-catenin in the cytosol and the nucle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APC and beta-catenin in laryngeal cancer.
SUBJECTS AND METHOD:
Immunohistochemical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beta-catenin and APC protein expression in 15 laryngeal cancers.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RESULTS:
beta-catenin expression to the plasma membrane was reduced or absent in 11 of 15 cases (73%) of the laryngeal cancers. Cytoplasmic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was seen in 6 out of 15 cases (40%). APC immunoactivity was negative in 5 of 15 (33%) of the laryngeal cancers. One of the six cytoplasmic expressions of the beta-catenin was negative for APC immunoactivity, and one of the five negative for APC immunoactivity was cytoplasmic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CONCLUS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eta-catenin and APC protein in the analysis. This finding suggests that cytoplasmic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resulted not from the APC mutation but from the beta-catenin mutation and abnormal Wnt signal. Only the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in cytoplasm was associ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Keywords: beta-cateninAdenomatous polyposis coli (APC) proteinLaryngeal neoplasms

교신저자:김동욱, 140-743 서울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속서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709-9361 · 전송:(02) 794-9628 · E-mail:kdw1228@hosp.sch.ac.kr

서     론


  
후두암은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 중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가장 흔한 원발성 종양으로, 전체 악성 종양의 2
~5%를 차지한다.1) 후두암의 중요한 환경적 위험인자는 흡연, 공해 및 음주 등인데,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후두암의 발생률이 4~24배 높고, 위험률은 흡연량에 비례해서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2) 후두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암발생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흡연은 Adenomatous polyposis coli(이하 APC) 유전자, β-catenin 유전자, p53 유전자 및 K-ras-2 유전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APC 단백은 여러 기능을 가진 분자로 세포내에서 β-catenin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암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즉, 세포내의 β-catenin은 APC 단백, glycogen synthase kinase 3β(GSK 3β), axin 등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한 후 proteosome에 의해 분해되어 제거되는데, APC 단백의 기능에 결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분해과정이 차단됨으로써 세포 내에 β-catenin이 축적된다.4) 또한 β-catenin 자체의 유전자 변이, Wnt 경로의 이상 등이 초래되면 세포질 내에 β-catenin이 축적된다. 이렇게 축적된 β-catenin은 핵내로 이동하여 TCF(T cell factor)/LEF(leukocyte enhancing factor)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를 활성화시켜 c-myc와 cyclin D1 등의 표적 유전자를 발현시켜 종양의 생성 및 진행에 관여한다.5) 이외에도 β-catenin은 E-cadherin과 결합하여 세포간 접합체를 형성하는 구조 인자의 역할을 하여 세포막의 β-catenin 소실은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암세포의 전이를 용이하게 한다.6)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정상 세포에서 APC 단백은 세포질 내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만 대장암에서와 같이 APC 단백의 기능이 소실되면 음성 반응을 보이게 된다. 정상 세포에서 β-catenin은 세포막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고, 세포질 또는 핵에서 음성 반응을 보이지만 대장암에서는 β-catenin의 세포막 발현이 감소 혹은 소실되고 세포질과 핵에서는 발현이 증가한다.7)
   저자는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후두 편평세포암 조직에서 β-catenin과 APC 단백의 발현 유무와 임상적인 양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1990년부터 2002년까지 후두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15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병리조직보고서를 검토하여 나이, 성별 및 병기, 분화정도 및 림프절 전이 유무를 조사하였다. 15예의 후두암 환자의 연령 분포는 47세부터 75세까지였으며, 평균 연령은 62.6세였다. 남자는 14예, 여자는 1예였다.

방  법
  
각 환자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5 μm의 두께로 연속절편을 만들어 통상적인 ABC(avidin-biotin-immunoperoxidase complex)법으로 APC 단백과 β-catenin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조직의 처리는 60℃의 보온기내에서 30분간 처리 후 xylene에서 탈 파라핀을 시행하고 무수 알코홀로 부터 순서대로 희석된 유수 알코홀로 처리하여 증류수에 함수시켰다. 0.3% H2O2와 Methanol에 30분간 처리하고, 0.1M citrate 용액에서 70℃에서 10분간 배양하여 30분간 실온에 두었다. 다시 PBS에 세척후 2% BSA가 혼합된 Blocking solution(Blocking solution, Signet laboratories, Dedham, MA, USA)에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Rabbit polyclonal anti-APC(adenomatous polyposis coli) protein(Santa Cruz, CA, USA) 1:100으로 희석하여 4℃에서 16시간 처리하였다. 후에 PBS에 5분씩, 3회 세척을 하고, 2차 항체(Multi-species Reagent, Biotinylated Anti-mouse and rabbit immunoglobulin(Signet laboratories, Dedham, MA, USA)를 사용하여 30분간 배양하였다. 다시 PBS에 5분씩, 3회 세척을 한 후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Vectastain Kit,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USA)로 30분간 배양 후 PBS에 5분씩, 3회 세척하였다. DAB(3,3'-diaminobenzidine-tetra-hydrochloride) 용액으로 발색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을 하고, Hematoxylin-Eosin으로 대조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하에서 발색부위를 관찰하였다. Goat polyclonal anti-β-catenin(Transduction Lab., Lexington, KY, USA)은 1:200으로 희석하고 발색은 AEC(3-amino-9-ethylcarbazole)을 사용하였다. 비종양성 조직과 대장암 조직을 이용하여 염색 유무와 염색 부위를 비교하였으며, 음성 대조염색은 일차 항체를 생략하고 시행하였다.

통계처리
  
임상적 및 병리학적 인자들과 후두암의 β-catenin과 APC 단백의 발현 유무를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p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5예의 후두 편평세포암 환자 중 고분화성 암종은 10예, 중등도 분화성 암종은 5예였다. 임상적 병기에 따른 국소병기(T)는 T1 4예, T2 5예, T3 3예, 그리고 T4 3예이었다. 림프절 전이(N) 병기는 N0 11예, N(+) 4예이었다. 흡연경력을 가지고 있었던 경우가 14명이었고, 이중 13명이 30 pack-year 이상의 흡연력을 가지고 있었다.

β-catenin과 APC 단백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양상
  
세포막 β-catenin의 발현은 총 15예 중 4예(27%)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고, 11예(73%)에서 감소하거나 음성 반응을 보였으며, 세포질에는 6예(40%)에서 양성 반응 보였으나, 핵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Figs. 1 and 2). APC 단백의 발현은 총 15예 중 10예(67%)에서 양성 반응을, 5예(33%)에서 음성 반응을 보였다(Fig. 3).

임상양상과 β-catenin 및 APC 단백의 발현양상간의 상관관계
   APC 단백의 발현양상과 임상병리학적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을 때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조직학적 분화정도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β-catenin과 림프절 전이와 관련성을 보였다(Table 1 and 2).

β-catenin과 APC 단백 발현 양상간의 상관관계
  
세포막 β-catenin 양성 반응을 보인 4예에서 APC 단백 양성 반응을 보인 것은 2예(50%)였으며, 세포막 β-catenin 감소나 음성 반응을 보인 11예 중 APC 단백 음성 반응을 보인 것은 3예(27%)였다(Table 3). 세포질 β-catenin 양성 반응을 보인 6예 중 APC 단백 음성 반응을 보인 것은 1예(17%) 였으며, APC 단백 음성 반응인 5예 중 세포질 β-catenin이 양성 반응인 것은 1예(20%)이었다. 후두암에서 β-catenin과 APC 단백의 각각 발현 양상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Table 4). 

고     찰

   한국인의 후두암 발생률은 연간 250
~400명 정도로 인구 100,000명당 3.2명 정도에 해당하며, 남녀비는 약 10:1, 호발연령은 60대로 알려져 있다.1) 후두암 환자의 90% 이상이 흡연력을 갖고 있으며, 흡연은 여러 역학적 연구를 통하여 후두암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어떤 기전을 통하여 후두암을 유발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8) 현재까지 Adenomatous polyposis coli(APC) 유전자, β-catenin 유전자, p53 유전자, K-ras-2 유전자 등이 흡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β-catenin은 세포간 접합체를 형성하는 구조인자로서의 기능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로서 작용하는 두 가지 생물학적 기능이 밝혀져 있다.9) 대장의 정상 점막에서는 β-catenin이 세포막을 따라 발현되지만 선종과 암종에서는 감소하거나 소실되고 세포질과 핵에서 발현되는데 이는 선종의 형성과 초기 악성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0) 또 위암, 간암, 유방암, 흑색종 등에서도 β-catenin 이 세포질과 핵에 축적되는 현상이 관찰되어 다양한 종양의 악성화 과정에 관련되어 있다.11) 본 연구에서 식도암, 비인강암, 구강암에서와 같이12) 후두암에서도 β-catenin의 세포막 발현 감소를 73%에서 관찰할 수 있었고, 세포질 내 β-catenin의 발현은 40%에서 관찰되었다. β-catenin은 E-cadherin, α-catenin 등과 결합체를 이루어 세포간 접합부를 형성하고 세포분화를 유도하는 기능이 있다.13) 대장암, 식도암, 방광상피암 그리고 유방암에서 세포막 β-catenin의 발현 감소가 조직학적 분화도 및 전이 여부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14) 대장암에서는 조직학적 분화도가 낮을 수록 β-catenin의 핵과 세포질 발현 빈도가 증가하는 것이 보고되었다.15) 본 연구에서는 중분화도 50%, 고분화도 18%에서 세포질 β-catenin이 관찰되어 조직학적 분화도와 세포질 β-catenin의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세포막 β-catenin의 발현 감소가 후두암 예후와 관계되는 T 분류, 림프절 전이 유무 등의 임상 양상과도 통계적 상관 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β-catenin의 지속적인 발현은 TCF/LEF 전사인자를 활성화시켜 표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고 암의 생성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16) 림프절 전이와 원격 전이를 동반한 대장암에서 핵형 β-catenin의 발현 빈도가 증가하므로 β-catenin 발현 양상이 암의 침윤과 진행에 관계할 것이라는 보고가 있고,16) 후두암에서 β-catenin의 세포질내의 발현이 암의 분화도가 나쁜 경우에 증가한다는 결과도 있다.17) 본 연구에서 핵형 β-catenin의 발현이 없었고, 세포막 β-catenin의 발현이 감소된 군에서 림프절 전이가 9%에서 관찰되어, 후두암의 진행과 침윤에 관계하는 β-catenin의 역할은 미약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APC 유전자는 종양억제유전자로서 대장암의 80% 이상에서 기능 소실이 발견되고, APC 유전자 변이로 생긴 APC 단백의 기능 소실이 대장암의 전구 병변인 용종 형성과 관련이 있어 악성화 초기 과정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APC 단백은 신호전달체인 β-catenin/ TCF/LEF 복합체의 전사를 조절하는 인자로서 작용하나,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기능이 소실되면 β-catenin이 분해되지 않고 세포질에 축적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축적된 β-catenin은 핵 내로 이동하여 전사 인자인 TCF, LEF와 결합하여 종양의 성장과 진행을 촉진하는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게 된다. 세포질 또는 핵형 β-catenin의 발현은 APC 단백의 이상, β-catenin 자체 변이, Wnt 경로의 이상으로 인한 지속적인 β-catenin의 과다 발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APC 단백의 발현은 총 15예 중 10예(67%)에서 양성 반응을, 5예(33%)에서 음성 반응을 보였다. 세포질 β-catenin 양성반응을 보인 6예에서 APC 단백 음성 반응을 보인 경우는 1예(17%)였고 APC 단백 음성인 5예 중 세포질 β-catenin이 양성인 것은 1예(20%)로 후두암에서 세포질 β-catenin의 축적은 APC 단백의 기능 이상이 아닌 다른 원인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APC 단백과 T 분류, 림프절 전이 유무, 조직학적 분화도 등의 임상 양상과는 통계적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후두암의 경우 본 연구의 결과에서 β-catenin이 APC 단백에 비해 악성화 과정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후두암에서 세포막 β-catenin의 감소는 T 분류, 림프절 전이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세포질의 발현은 림프절 전이와 관련을 보였다. β-catenin이 후두암 진행과 침윤에는 중요한 역할을 못한다고 생각되지만, 림프절 전이와 관련이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적은 림프절 전이를 갖은 환자수로 인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생긴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후두암 발생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에 대해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APC 단백의 이상으로 세포질내 β-catenin이 축적되는 대장암과 달리 후두암에서는 APC 단백의 음성 발현율이 적었으며 APC 단백의 발현 양상과 세포질 β-catenin 축적과의 통계적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β-catenin의 세포질 발현과 림프절 전이와는 관련성이 있었다. 후두암에서 세포막 β-catenin의 감소가 관찰되지만 T 분류, 림프절 전이와 상관관계가 없어서 β-catenin이 후두암 진행과 침윤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질 β-catenin 양성 반응은 후두암의 전이와 관련성이 있을것으로 사료되나, 환자수가 적은 관계로 결론을 내리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세포질 β-catenin의 축적이 APC 단백의 이상보다는 β-catenin 자체의 변이나 Wnt 경로의 이상 등으로 발생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두암에서 APC 단백의 역할은 미약하며 β-catenin이 후두암의 진행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β-catenin이 후두암의 발생과정에 어느 정도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REFERENCES

  1. Jin YW, Lee DY, Cha CI, Park SH, Hong NP, Ahn HY.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expression in normal laryngeal mucosa, laryngeal dysplasia and laryngeal carcinoma. Korean J Otolaryngol 1999;42:478-82.

  2. Adams GL. Malignant tumors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Krause CJ, Richardson MA, Schuller DE, editors.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3rd ed. St. Louis: Mosby Year Book;1998. p.2130-75.

  3. Miyaki M, Lijima T, Ishii R, Kita Y, Koike M, Kuroki T, et al. Increased frequency of p53 mutation in sporadic colorectal cancer from cigarette smokers. Jpn J Clin Oncol 2002;32:196-201.

  4. Behrens J, Jerchow BA, Wurtele M. Functional interaction of an axin homolog, conduction, with β-catenin, APC, and GSK3β. Science 1998;280:569-96.

  5. Tetsu O, McCormick F. β-catenin regulates expression of cyclin D1 in colon carcinoma cells. Nature 1999;398:422-6.

  6. Harington KJ, Syrigos KN. The role of E-cadherin-catenin complex: More than an intercellular glue? Ann Surg Oncol 2000;7:783-8.

  7. Iwamoto M, Ahnen DJ, Franclin WA, Maltzman TH. Expression of β-catenin and full length APC protein in normal and neoplastic colonic tissues. Carcinogenesis 2000;21:1935-40.

  8. Rothman KJ, Cann CI, Flanders D. Epidemiology of laryngeal cancer. Epidemiol Rev 1980;2:195-209.

  9. Kikuchi A. Regulation of β-catenin signaling in the Wnt pathwa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268:243-8.

  10. Brabletz T, Herrmann K, Jung A, Faller G, Kirchner T. Expression of nuclear β-catenin and c-myc is correlated with tumor size but not with proliferous activity of colorectal adenomas. Am J Pathol 2000; 156:865-70.

  11. Takayama T, Shiozaki H, Shibamoto S, Oka H, Kimura Y, Tamura S, et al. β-catenin expression in human cancers. Am J Pathol 1996; 148:39-46.

  12. Nakanishi Y, Ochiai A, Akimoto S, Kato H, Watanabe H, Tachimori Y, et al. Expression of E-cadherin, α-catenin, β-catenin and plakoglobin in esophageal carcinoma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Oncology 1997;54:158-65.

  13. Takayama T, Shiozaki H, Doki Y, Oka H, Inoue M, Yamamoto M, et al. Aberrant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β-catenin in human colorectal cancer. Br J Cancer 1998;77:605-13.

  14. Kadowaki T, Shiozaki H, Inoue M. E-cadherin and α-catenin expression in human esophageal cancer. Cancer Res 1994;55:291-6.

  15. Hugh TJ, Dillon SA, O'Dowd G, Getty B, Pignatelli M, Poston GJ, et al. β-catenin expression in primary and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Int J Cancer 1999;82:504-11.

  16. Crawford HC, Fingleton BM, Rudolph-Owem LA, Goss KJ, Rubinfeld B, Polakis P, et al. The metalloproteinase matrilysin is a target of β-catenin transactivation in intestinal tumor. Oncogene 1999;18:2883-91.

  17. Lopez-Gonzalez JS, Cristerna-Sanchez L, Vazquez-Manriquez ME, Jimenez-Oric G, Aguilar-Cazares D. Localization and level of expression of beta-catenin in huma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130:89-9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